왜 파헤쳤느냐??
windows 7에 생긴 기능인 VHD 부팅기능....
잘 사용하면 복구가 몇 초만에 끝나는 매우 편한 기능인데, 문제는 이 기능을 사용하기까지의 과정이다.
삽질을 안하고, 설명 해놓은대로 따라하면 되지만.....모든 사람의 컴퓨터 환경이 같은것이 아니므로, 여러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
나도 그런 오류로 인해......여러번 삽질하며, 똑같은 명령어를 계속 사용하다보니 어느정도 외워지더라.
하지만 자주 까먹는 명령어들이 있어서 이렇게 글을 올린다.
어떤 명령어가 있을까??
일단 가장 기본적인 bcdedit
이 명령어는 bcdedit를 이용한 모든 명령어 앞에 붙게 된다.
뭐 이런 식으로 말이다. 또한 단독으로 쓰였을 경우, 현재 windows의 boot 정보에 대해 띄여준다.
그럼 자주 사용하는 몇 개의 명령어를 써보겠다.(후에 추가 가능)
>bcdedit /set {.....} descripiton "바꿀 이름"
이건 부팅 시 뜨는 이름 GUID 를 바꾸는 명령어로, {...} 은 id가, 뒤에는 화면에 띄울 이름이 들어간다.
예를 들어,
>bcdedit /set {8166f8eb-028f-11df-9011-005056c00008} description "VHD 부모 파일 업그레이드"
를 입력하면
이와 같이 description에 써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명령어는 bcdedit를 이용한 모든 명령어 앞에 붙게 된다.
뭐 이런 식으로 말이다. 또한 단독으로 쓰였을 경우, 현재 windows의 boot 정보에 대해 띄여준다.
그럼 자주 사용하는 몇 개의 명령어를 써보겠다.(후에 추가 가능)
>bcdedit /set {.....} descripiton "바꿀 이름"
이건 부팅 시 뜨는 이름 GUID 를 바꾸는 명령어로, {...} 은 id가, 뒤에는 화면에 띄울 이름이 들어간다.
예를 들어,
>bcdedit /set {8166f8eb-028f-11df-9011-005056c00008} description "VHD 부모 파일 업그레이드"
를 입력하면
이와 같이 description에 써지는 것을 볼 수 있다.
'My Self. >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T 통신사의 횡포..."사실 폰 좀 아는 사람들은 SKT 폰 안쓴다" (1) | 2010.01.19 |
---|---|
자식 VHD 파일 활용해서, 백업 몇 초만에 끝내기~♬ (0) | 2010.01.17 |
CMD에서 Diskpart 이용하기 (1) | 2010.01.16 |
VHD 파일 전환하기 (0) | 2009.11.13 |
Vmware 네트워크 설정 방법. (0) | 2009.11.12 |